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화랑 원화의 원류(原流) 박제상 부자(父子)-下


비가 봄비가 아닌 꽃밭의 향연(饗宴)을 시샘이라도 할 듯이 목련 봉오리를 사정없이 할퀸다.
가만히 벌린 목련 꽃잎에 가득 찬 빗방울이 바람에 흔들려, 그만 꽃잎을 땅으로 직행(直行)을 하게 한다.
빗물이 질펀한 흙탕길에 놓인 하얀 목련꽃잎이 하나씩 하나씩 그래도 고고(孤高)기품(氣品)을 마지막까지 내려놓지를 않는다.
한 걸음 한 걸음 피해서 내디뎌 보지만, 안타까움이 눈가를 물들게 한다.
잠깐의 화려(華麗)함을 위해 동지(冬至) 섣달 인고(忍苦)세월(歲月)을 참고, 잎도 피기 () 꽃잎부터 피어나니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가. 그 옛날 화랑(花郞) 원화(源花)의 아름다움이 이와 같았으리라.


만고 충신 관설당 박제상이 현신한 듯 목련이 고고한 향내를 날리고 있다.

www.pjnonsul.com
   만고(萬古)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에 대해 조선(朝鮮)현군(賢君)대명사(大名辭), 세종대왕(世宗大王 : 1418~1450)은 “신라(新羅) 천년(千年)에 으뜸가는 충신(忠臣)이다”라고 하였고, 조선(朝鮮) 후기(後期) 문예부흥(文藝復興)주도(主導)명군(名君) 정조대왕(正祖大王 : 1752~1800)은 “그 도덕(道德)천추(千秋)에 높고 정충(貞忠)만세(萬世)에 걸친다.”라며 극찬(極讚)을 아끼지 않았었다.
물론 배신(背信)사기(詐欺)가 온 세상(世上)을 뒤덮은 것 같은 혼란(混亂)을 살아가는 현금(現今)의 사람들도 역시 만고(萬古)충신(忠臣)으로 숭앙(崇仰)을 하지만 말이다.


치산서원 정문(홍살문)

www.pjnonsul.com
   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백결선생(百結先生)부자지간(父子之間)이란 것은『삼국사기(三國史記)』,『삼국유사(三國遺事)』,『화랑세기(花郞世紀)』 그 어디에도 없다.『삼국사기(三國史記)』「열전(列傳)박제상전(朴堤上傳)에는 제상(堤上)가계(家系)가 자세히 기록(記錄)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둘째 딸을 미사흔(未斯欣)에게 시집보낸 내용(內容)말미(末尾)에 적어져 있다.『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박제상(朴堤上)김제상(金堤上)으로 기록(記錄)되어 있고, 그의 가계(家系)에 대한 내용(內容)이 없다.
다만 보해(寶海)-복호(卜好)-와 미해(美海)-미사흔(未斯欣)-를 구출(救出)()으로 제상(堤上)부인(夫人)국대부인(國大夫人)으로 삼고, 그의 딸로써 미해공(美海公)부인(夫人)을 삼게 하였다는 기록(記錄)과 ‘얼마 뒤에 부인(夫人)이 못 견딜 만큼 그 남편(男便)사모(思慕)하여 딸 셋을 데리고 치술령(鵄述嶺)에 올라가 왜국(倭國)을 바라다보고 통곡(慟哭)을 하다가 죽었다.
이래서 치술신모(鵄述神母)가 되었으니 지금도(일연스님 당시) 이곳에는 당집이 있다’라고 ()한다. www.pjnonsul.com
   『화랑세기(花郞世紀)』에는 황아(皇我)눌지왕(訥祗王)의 딸이고, 그 어머니는 치술공주(鵄述公主)인데, 실성왕(實聖王)의 딸이다.
제상공(堤上公)에게 시집을 가서 삼아(三我)를 낳았다고 기록(記錄)되어 있다.


치산서원 내의 관설당

www.pjnonsul.com
   위 세 가지 서책(書冊)에는 박제상(朴堤上)에게 아들이 있었다는 기록(記錄)은 없다.
모두 공통적(共通的)으로 딸이 있었다는 말을 전하고 있을 뿐이다.
www.pjnonsul.com
   그렇다면 박제상(朴堤上)백결선생(百結先生)부자지간(父子之間)이란 것은 어떻게 된 것일까? 그것은『부도지(符都誌)』란 ()발견(發見)되고 난 뒤부터였다고 한다.『부도지(符都誌)』는 영해 박씨 문중(門中)에 그동안 비전(秘傳) 되어 오던 것을 6.25 전란(戰亂) 때, 당시(當時) 동아일보(東亞日報) 기자(記者)였던 박금(朴錦)씨가 연구(硏究)하던 기억(記憶)을 더듬어 편찬(編纂)()이라고 한다.
아직까지 학계(學界)에서는 사료적(史料的) 가치(價値)에 대해서 의문(疑問)을 표시하고 있는 ()이기도 하다.
()을 보면 내물왕(奈勿王)이 죽었을 때 세 아들(눌지, 복호, 미사흔)이 어렸기 때문에 화백회의(和白會議)에서 실성(實聖)보위(寶位)에 오르게 된다.
그러자 첫째인 눌지(訥祗)는 거짓으로 미친 척 행동(行動)하여 살아남았지만, 둘째 복호(卜好)와 셋째 미사흔(未斯欣)실성왕(實聖王)에게는 눈에 가시거리였다.
그래서 실성(實聖)복호(卜好)미사흔(未斯欣)강화정책(講和政策)일환(一環)으로 고구려(高句麗)()인질(人質)로 보내버린다.


관설당 박제상 영정

www.pjnonsul.com
   이런 실성(實聖)왕권강화정책(王權講和政策)제상(堤上)분연(忿然)히 일어나 “이는 화백회의(和白會議) 정신(精神)에 어긋난다.”는 여론(輿論)을 일으켜, 신자천(申自天), 배중량(輩仲良)육신(六臣)() 사퇴(仕退)하게 만들고, 뒤이어 실성(實聖)눌지(訥祗)에게 왕권(王權)평화(平和) 이양(移讓)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www.pjnonsul.com
   기존(旣存) 사서(史書)기록(記錄)내물왕(奈勿王)에 의해 고구려(高句麗)인질(人質)로 가게 되었던 실성(實聖)왕위(王位)에 오르자, 내물(奈勿)의 아들인 복호(卜好)미사흔(未斯欣)인질(人質)로 보내어 자신(自身)이 당한 원한(怨恨)을 갚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고구려(高句麗)국제질서(國際秩序) 논리(論理)에 의해 실성(實聖)을 죽이고, 눌지(訥祗)왕위(王位)에 올려놓았다고 하는 것이 타당(妥當)하다고 할 수 있다.
www.pjnonsul.com
   『부도지(符都誌)』의 발견(發見)으로 박제상(朴堤上)백결선생(百結先生)부자지간(父子之間)임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박제상(朴堤上)이 영해박씨 시조(始祖)이며, 호는 관설당(觀雪堂)이라고 한다.
또 그 아들 백결선생(百結先生)자비왕대(慈悲王代)이벌찬(伊伐湌) 벼슬을 지낸 문량(文良)이라고 한다.
한 집안에 내려오는 비서(秘書)가 어느 정도(程度) 역사적(歷史的) 사실을 기록(記錄)하였는지는 알 길이 없지만, 그래도 그냥 아니라고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 것이 사실이다.


망부석 오르는 길 입구

www.pjnonsul.com
   백결선생(百結先生)은 방아타령으로 유명(有名)현금(玄琴)명장(明匠)이었다.『삼국사기(三國史記)』「열전(列傳)」에는 가난한 백결선생(百結先生)명절(名節)이 다가와도 음식을 준비(準備)하지 못하고 상심(傷心)하는 아내를 위해 <방아타령(碓樂)>을 지어 위로하였다고 한다.
또한 백결(百結)화랑(花郞)원화(源花)들의‘현실(玄室) 교육(敎育)’의 틀을 확립(確立)대종사(大宗師)였다고 한다.
현실(玄室)이란 피라미드 속을 한자(漢字)로 나타낸 것이 라고 하는데, 이 현실(玄室) 안에서 화랑(花郞)원화(源花)들에게 밀실(密室) 환경(環境)을 만들어 놓고, 방아타령을 현금(玄琴)으로 연주(演奏)하여, 그들에게 높은 정신적(精神的) 수양(修養)을 하게 하였다고 한다.
www.pjnonsul.com
   지금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에 가면 박제상(朴堤上)과 그의 부인(夫人) 치술신모(鵄述神母)를 위해 사당(祠堂)을 세웠던 터에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와서 서원(書院)을 세웠는데 이곳이 치산서원(鵄山書院)이다.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 효충마을에 효충사(孝忠祀)가 있고, 외동면에 치술령(鵄述嶺)망부석(望夫石) 은을암 등 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관련(關聯)유적(遺蹟)이 곳곳에 있다.
박제상(朴堤上)백결선생(百結先生)부자지간(父子之間)이든 아니든, 두 분의 높은 충절(忠節)청소년(靑少年) 교육(敎育)을 위해 몸 바쳤던 올바른 의식(意識)경의(敬意)를 표하고 싶다.


은을암 가는 길 입구

www.pjnonsul.com
   www.pjnonsul.com
   www.pjnonsul.com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直行  2.華麗  3.冬至  4.忍苦  5.花郞  6.萬古  7.忠臣  8.賢君  9.新羅  10.後期  11.主導  12.道德  13.千秋  14.極讚  15.背信  16.詐欺  17.世上  18.現今  19.崇仰  20.家系  21.記錄  22.內容  23.救出  24.夫人  25.男便  26.思慕  27.慟哭  28.發見  29.門中  30.秘傳  31.戰亂  32.記者  33.硏究  34.記憶  35.編纂  36.學界  37.價値  38.疑問  39.行動  40.人質  41.精神  42.輿論  43.仕退  44.王權  45.平和  46.移讓  47.史書  48.自身  49.怨恨  50.妥當  51.始祖  52.秘書  53.程度  54.玄琴  55.傷心  56.敎育  57.確立  58.密室  59.環境  60.修養  61.關聯  62.遺蹟  63.忠節  64.意識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