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화랑 응렴(膺廉)과 국선(國仙)들의 향가


이파리는 아직도 계절(季節)을 잊은 듯한데, 못생긴 모과의 반지르한 껍질이 조금씩 노랗게 물들어간다.
올봄 그렇게 화사(華奢)함을 솜방망이처럼 날리던 벚나무에도 잎이 아래로부터 하나씩 가을을 머금고, 성장(盛粧)한 황진이(黃眞伊 : ?~?)마냥 방긋방긋 한다.


안압지 옆 황룡사의 당간지주(유채꽃이 관광객을 부르고 있다)

www.pjnonsul.com
   반월성(半月城)을 나와 신작로(新作路)를 건너면 넓이를 가늠키 어려운 서라벌(徐羅伐) 정원(庭園)화려(華麗)했던 옛 시절(時節)을 잊지 못하고, 간간(間間)히 찾아오는 관광객(觀光客)들에게 온 몸을 내맡기며 속내를 살포시 내보인다. www.pjnonsul.com
   이곳이『삼국사기(三國史記)신라본기(新羅本紀) 문무왕(文武王) 14년(674) 기사(記事)에 ‘2월에 () 안에 못을 파고 ()을 만들어 화초(花草)를 심고 진금(珍禽)-()한 날짐승-과 기수(奇獸)-성서로운 동물(動物)-를 길렀다’라고 ()하는 안압지(雁鴨池)이다.
또한 35대 경덕왕(景德王) 19년(760) ‘2월에 궁중(宮中)에 큰 못을 팠다’라는 기록(記錄)()하는 것으로 보아 문무왕대(文武王代)안압지(雁鴨池)가 처음 만들어 졌다가, 경덕왕대(景德王代)개축(改築)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妥當)할 것이다.
이후(以後) 임해전(臨海殿)에서 군신(君臣)들에게 연회(宴會)를 베풀었던 기사(記事)가 32대 효소왕(孝昭王) 6년 9월에 보이고, 36대 혜공왕(惠恭王) 5년 3월에도 나타나는 등 여러 차례라고『삼국사기(三國史記)』는 기록(記錄)하고 있다.
아마도 ()군신(群臣)들이나 사신(使臣)들에게 연회(宴會)를 베풀었던 장소(場所)사용(使用)되었던 것 같다.
이것을 증명(證明)이라도 하듯 1975년 발굴조사(發掘調査)에서 무덤의 껴묻거리(副葬品) 와는 다르게 실생활(實生活)에서 사용(使用)유물(遺物)다량(多量) 출토(出土)되었다.
유물(遺物) 중 주사위 하나가 발견(發見)되었는데, 주사위 ()정사각형(正四角形) ()이 6개, 육각형(六角型) ()이 8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재미있는 것은 () ()마다 한자(漢字) 4글자 정도(程度)씩이 새겨져 있고, 그 내용(內容)은 주사위를 굴려서 나타나는 글의 내용(內容)에 따라 벌칙(罰則)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수준 높은 놀이문화를 엿 볼 수 있는 주사위가 발굴된 안압지 전경

www.pjnonsul.com
   술 세잔 한 번에 마시기, 스스로 노래 부르고 스스로 마시기, 술을 다 마시고 크게 웃기, 덤벼드는 사람이 있어도 가만히 있기, 소리 없이 춤추기, 여러 사람이 코 때리기, 얼굴을 간지럽게 하여도 꼼짝 않고 있기, 누구에게나 마음대로 노래를 청하기, 팔뚝을 구부린 채 다 마시기, 술 2잔이면 쏟아 버리기, 스스로 괴래만(怪來晩)이라는 노래 부르기, 월경(月鏡) 한 곡 부르기, 더러운 것을 버리지 않기, () 한 수 읊기 등등이다.
www.pjnonsul.com
   주사위에 적힌 벌칙(罰則) 내용(內容)을 보면, 오늘날 국적(國籍) 없는 한풀이식 놀이문화(文化)와는 차원(次元)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준다.
어찌 보면 우리네 서라벌(徐羅伐) 선인(先人)들은 그들의 찬란(燦爛)물질문명(物質文明) 속에 한층 성숙(成熟)정신문화(精神文化)를 가지고 있었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는 사례(事例)라 하겠다.


안압지 안의 누각(이곳에서 신라왕들은 사신 및 신하들과 연회를 즐겼다)

www.pjnonsul.com
   때는 신라(新羅) 47대 헌안왕(憲安王) 4년 9월에 ()임해전(臨海殿)에서 여러 신하(臣下)연회(宴會)를 할 때였다.
이제 나이 열다섯 살인 화랑국선(花郞國仙) 응렴(膺廉)에게 ()이 물었다.
()국선(國仙)이 되어 사방(四方)으로 유람(遊覽)하는 ()에 무슨 특이(特異)한 일을 본 것이 없는가?” 하니, ()이 말하기를 “저는 행실(行實)이 얌전한 사람 셋을 보았습니다.
남의 윗자리에 있으면서 겸손(謙遜)하게도 남의 아랫자리에 가서 앉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것이 첫째요, 드센 부자(富者)로서 검소(儉素)의복(衣服)을 입는 사람을 보았는데 이것이 둘째요, 근본(根本)세도(勢道) 양반(兩班)으로서 위세(威勢)를 부리지 않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것이 셋째입니다” 하였다.
이 말은 들은 헌안왕(憲安王)은 그가 현명(賢命)함을 알고, 사위로 삼으려고 하였다.
이 때 ()의 맏딸은 20살이고 아우는 19살이었다.
www.pjnonsul.com
   집으로 돌아온 응렴(膺廉)부모(父母)님께 이 사실을 아뢰니, 부모(父母)님은 ()의 두 딸 중에 용색(容色)이 뛰어난 아우를 택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그러나 화랑(花郞)의 무리 가운데 우두머리로 있는 범교사(範敎師)-『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흥륜사(興輪寺)의 중이라고 한다-가 말하길 “()()하면 세 가지 이익(利益)이 있고 아우를 ()하면 이와 반대(反對)로 세 가지 손해(損害)가 있으리라” 하였다.
이에 응렴(膺廉)헌안왕(憲安王)의 맏딸에게 장가를 가게 되었다.
www.pjnonsul.com
   그 후 석 달이 지나 ()()위독(危篤)하게 되자, ()은 여러 신하(臣下)들을 불러서 말하길 “과인(寡人)불행(不幸)히 아들이 없고 딸만 있으니, 우리나라 고사(故事)에 비록 선덕(善德)-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 ․ 진덕(眞德)-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 두 여주(女主)()가 있었으나 이는 빈계(牝鷄)()에 가까운 것이라 가히 () 받을 일이 되지 못하여, 사위 응렴(膺廉)은 나이 비록 적으나 노성(老成)()이 있으니 () 등이 이를 세워 섬기면 반드시 조종(祖宗)영서(令緖)를 떨어뜨림이 없을 것이므로 과인은 죽어도 썩지 않겠다.” 하였다.
이에 신하(臣下)들은 응렴(膺廉)옹립(擁立)하니 바로 신라(新羅) 48대 경문왕(景文王 : 861~875)이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란 비밀은 간직한 신우대가 그날을 이야기 하고 있다.

www.pjnonsul.com
   경문왕(景文王)이라고 하면 우리에겐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란 설화(說話)로 매우 낯익은 이사금(尼師今)이다.
15살에 화랑국선(花郞國仙)이 되어 명산대천(名山大川)유람(遊覽)하였고, 여기서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 마침내 헌안왕(憲安王)의 사위가 되어 보위(寶位)를 잇게 되었던 것이다.
www.pjnonsul.com
   ()이 된 응렴(膺廉)후일(後日) 범교사(範敎師)에게 지난날 헌안왕(憲安王)의 못생긴 맏딸에게 장가를 들면 세 가지 이익(利益)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는데, 그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범교사(範敎師)는 말하길 “당시(當時)헌안왕(憲安王)왕비(王妃)가 그 뜻대로 된 것을 기뻐하며 총애(寵愛)가 점점 깊어진 것이 한 가지이며, 또 이로 인하여 왕위(王位)를 잇게 된 것이 둘째며, 앞서부터 ()하려던 전왕(前王)의 둘째 딸을 마침내 ()하게 된 것이 그 셋째 이익(利益)입니다.” 하였다.


주인 모르는 대형고분 위에 고목들이 금관 장식마냥 아름답게 무리지어 있다.

www.pjnonsul.com
   경문왕(景文王)헌안왕(憲安王)의 딸들을 놓고 이리저리 견주기도 하고, 또한 화랑(花郞)의 우두머리 범교사(範敎師)에게 자문(諮問)까지 얻어서 결혼(結婚)을 하는 것을 보면 도량(度量)은 넓지만 매우 치밀(緻密)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그의 치밀(緻密)함으로 남의 말을 잘 듣는 이사금(尼師今)이라고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란 설화(說話)서라벌(徐羅伐)에 퍼져나간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잘 때는 항상 뱀과 함께 잔다.
라고 하여 신성(神聖)한 뱀 신앙(信仰)서라벌(徐羅伐)존재(存在)하였다는 흔적(痕迹)을 지울 수가 없다.
지금도 마을에서 뛰어난 젊은이가 어떤 일을 할라치면, 동네의 어른들은 ‘배미 잘할까’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이 말은 ‘뱀이니까 잘 할 것이다’라는 인도(印度)에서 남방(南方)루트를 ()해 들어온 뱀 신앙(信仰)원형(原型)유추(類推)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경주 남산 상선암 마애석가여래대불좌상[국제신문 제공]

www.pjnonsul.com
   화랑국선(花郞國仙)으로 왕위(王位)에 오른 경문왕(景文王)은 흐트러진 서라벌(徐羅伐) 귀족(貴族)들에게 화랑(花郞)이라는 전대(前代)정신(精神)을 되살려 말기적(末期的) 현상(現像)이 나타나는 신라(新羅)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고 하였다고 판단(判斷)된다.
왜냐하면 경문왕(景文王)은 그동안 명맥(命脈)유지(維持)하던 국선(國仙) 무리들에게 나라의 명산(名山)으로 유람(遊覽)장려(獎勵)하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www.pjnonsul.com
   이런 일련(一連)국가부흥운동(國家復興運動)일환(一環)으로 국선(國仙) 요원랑(邀元郞)예흔랑(譽昕郞), 계원(桂元), 숙종랑(叔宗郞) 등이 금란(金蘭)-강원도 통천지방-을 유람(遊覽)하였다.
이 때 국선(國仙)의 무리들은 임금을 위하여 나라를 다스릴 노래 세 수를 지어, 심필사지(心弼舍知)를 시켜 주었다.
초고(草稿)이용(利用)하여 대구화상(大矩和尙)이 세 곡의 노래를 지었다.
노래는 현금포곡(玄琴抱曲), 대도곡(大道曲), 문군곡(問群曲)이다.
이 노래를 ()에게 바치니 경문왕(景文王)은 매우 기뻐서 칭찬(稱讚)을 아끼지 않았다고『삼국유사(三國遺事)』는 ()하고 있다. www.pjnonsul.com
   이 노래를 향가(鄕歌)로 보는 이유(理由)는 첫째 화랑(花郞)들이 지어 불렀다면 향가(鄕歌)주요담당층(主要擔當層)화랑(花郞)이었다는 것에서 그렇고, 둘째 51대 진성왕여대(眞聖女王代 : 887~897)에 향가집(鄕歌集)삼대목(三代目)』을 지은 사람 중의 한명이 대구화상(大矩和尙)이기 때문이다.
www.pjnonsul.com
   비록 향가집(鄕歌集)삼대목(三代目)』은 그 흔적(痕迹)조차 찾을 길 없지만, 신라하대(新羅下代) 진성여왕대(眞聖女王代)까지 지속적(持續的)으로 향가(鄕歌)서라벌인(徐羅伐人)들에게 향유(享有)되었다는 사실만은 분명(分明)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화랑국선들의 주요한 유오산수처인 월송정에서 바라본 동해 백사장

www.pjnonsul.com
   오늘날 이웃나라 일본(日本)은 우리의 향가집(鄕歌集)삼대목(三代目)』과 비슷한 시기(時期)시가집(詩歌集)만엽집(萬葉集)』이 남아 있어 그들이 문화민족(文化民族)임을 내세우는 증거(證據)로 삼고 있지만, 우리 서라벌(徐羅伐)에도 이에 못지않은 높은 수준(水準)시가(詩歌)가 널리 불리어졌으며, 또한 ()으로도 편찬(編纂)되었다는 것으로 위안(慰安)을 삼을 수밖에… www.pjnonsul.com
   그 어느 날 우리 앞에 나타날지도 모를 향가집(鄕歌集)삼대목(三代目)』을 위해 향가(鄕歌) 한 수쯤 익혀두는 지혜(智慧)필요(必要)한 때인지도 모를 일이다.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季節  2.華奢  3.庭園  4.華麗  5.記事  6.花草  7.動物  8.宮中  9.記錄  10.改築  11.妥當  12.君臣  13.宴會  14.使臣  15.場所  16.使用  17.證明  18.遺物  19.多量  20.發見  21.程度  22.內容  23.罰則  24.國籍  25.文化  26.物質文明  27.成熟  28.精神文化  29.事例  30.新羅  31.臣下  32.遊覽  33.特異  34.行實  35.謙遜  36.儉素  37.衣服  38.根本  39.勢道  40.威勢  41.父母  42.花郞  43.反對  44.損害  45.危篤  46.寡人  47.故事  48.祖宗  49.說話  50.名山大川  51.浩然之氣  52.後日  53.王妃  54.寵愛  55.諮問  56.結婚  57.度量  58.緻密  59.神聖  60.信仰  61.存在  62.痕迹  63.印度  64.南方  65.原型  66.貴族  67.精神  68.現像  69.判斷  70.命脈  71.維持  72.草稿  73.稱讚  74.鄕歌  75.享有  76.分明  77.時期  78.證據  79.編纂  80.慰安  81.必要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