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화랑국선들의 주유천하 관동팔경(關東八景) 中


가을은 그냥 겨울을 향한 하루 이틀의 여유(餘裕)밖에 남기지 못하고 이내 사라지는 운명(運命)인가 보다.
붉고 노란 향연(饗宴)시작(始作)도 하기 전에 수은주(水銀柱)영하(零下)를 가리키니, 자연(自然)역행(逆行)해 온 인간(人間)들의 좁은 소견(所見)이 얼마나 참담(慘憺)결과(結果)를 맞이하는 가를 폐부(肺腑) 깊숙이 느끼게 해 준다.


해신당 뒤편의 동해 바닷가

www.pjnonsul.com
   월송정(越松亭)을 나와서 실직국(悉直國) 옛터인 삼척(三陟)에 다다랐다.
동해안(東海岸) 일주도로(一周道路) 곳곳엔 갈매기들의 하늘 가림이 해를 가리고, 푸른 바닷물만이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의 넋을 위해 오늘도 쉼 없이 넘실거리며 그날의 전설(傳說)을 들려주고 있다.
www.pjnonsul.com
   삼척시 원덕읍 신남마을에 도착하니 관광버스 행렬(行列)이 작은 항구(港口) 주차장(駐車場)을 메우고 있다.
주차장(駐車場) 옆으로 이어진 생선(生鮮)구이 행상(行商)에는 크고 작은 구운 생선(生鮮)들이 관광객(觀光客)을 모으고, 삼삼오오(三三五五) 짝지은 화려한 꽃무늬 아지매들이 까르륵 까르륵 전원주 웃음으로 이리저리 활개를 치고 있다.
이른 시간(時間)인데도 불구하고 벌써 딸기코 아저씨가 하나 둘씩 팔자(八字) 구자(九字) 걸음에 익숙해져 있다. www.pjnonsul.com
   신남항 뒤편 구릉(丘陵)에는 동해안(東海岸) 유일(唯一)남근석(男根石) 공원(公園)해신당(海神堂) 공원(公園)이 있다.
입구(入口)에서부터 ‘천하대남근(天下大男根)’이라는 거대(巨大)목남근(木男根)이 하늘을 ()해 성낸 모습으로 시위(示威)를 하고, 부끄러움에서 졸업(卒業)한 듯한 아지매들도 이곳에서는 투박한 손으로 입을 가리고, 억지 춘향격(春香格)으로 조심스럽게 손바닥 사이로 빼꼼히 남근(男根)을 바라보며 킬킬대고 있다.


해신당 성민속공원의 남근 조각상

www.pjnonsul.com
   약 400년 ()의 일이었다. www.pjnonsul.com
   ‘신남마을에는 결혼(結婚)약속(約束)처녀(處女)와 총각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그녀의 정혼자(定婚者)인 총각과 함께 배를 타고 해초(海草)채취(採取)하기 위해 해변(海邊)에서 조금 떨어진 자그마한 바위에 내렸다.
다시 데리러 오겠다는 총각을 뒤로하고 처녀(處女)해초(海草) 캐기에 몰두(沒頭)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광풍(狂風)이 불고 파도(波濤)가 거세게 일어나서 그만 처녀(處女)는 물에 빠져 죽게 되었다.
이런 일이 있은 ()부터 신남 포구(浦口)에는 고기가 잡히지 않아, 마을 주민(住民)들은 시름에 젖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어느 날 한 젊은 건장(健壯)어부(漁夫)가 바다를 ()자신(自身)양물(陽物)을 높이 쳐들고 소피를 보았다.
그러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그동안 온갖 치성(致誠)을 올려도 잡히지 않던 고기가 예전처럼 잡히기 시작한 것이었다.
이에 마을 주민들은 정혼자(定婚者)결혼(結婚)하지 못하고 불귀(不歸)()이 된 처녀(處女)원혼(冤魂) 때문이란 것을 알고는, 매년(每年) 정월(正月) 대보름이 되면 실물(實物) 모양의 남근(男根)을 여러 개 만들어 제사(祭祀)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해신당 성민속공원의 ‘천하지대남근상’

www.pjnonsul.com
   지금 해신당(海神堂)에는 처녀(處女)화상(畵像)이 모셔져 있고, 그 앞 제단(祭壇)에는 남근(男根)이 놓여져 있다.
구천(九天)을 헤매던 처녀(處女)원혼(冤魂)이 이제야 ()을 풀고 편안(便安)히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곳 해신당(海神堂)으로 오르는 길 옆 안전(安全) 구조물(構造物)에도 남근(男根)이 줄지어 하늘을 향해 곧추 서 있다.
지나가는 처녀(處女) 길손들이 남근(?) 하나하나를 잡으면서 걸어가는 모습을 바라보면, 웃음을 넘어서 해학(諧謔)으로 승화(昇華)된 옛 실직국(悉直國) 백성(百姓)들의 지혜(智慧)발견(發見)하는 것 같아 덩달아 신이 난다. www.pjnonsul.com
   아마도 서라벌(徐羅伐)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이 주유천하(周遊天下)일환(一環)으로 이곳 해신당(海神堂) 자리에 올라서 하얗게 달려와 부서지는 파도(波濤)를 바라보면서 그들의 기상(氣像)을 더 한층 높였을 것이다.


해신당 성민속공원의 남근 조각상 무리

www.pjnonsul.com
   다시 해안(海岸)으로 나 있는 길을 따라 풍악(楓嶽)으로 ()한다.
기암괴석(奇巖怪石)시간(時間)경과(經過)하면서 더욱 절경(絶景)을 이루고 있다.
화랑(花郞)들이 이곳을 그토록 애타게 달려왔는지 충분(充分)짐작(斟酌)이 가고도 남는다.
차창(車窓)을 열고 바닷바람을 들이마셔 본다.
상큼한 내음이 갈매기의 활기(活氣)기운(氣運)과 함께 속내를 시원하게 비워준다.
어디선가 향가(鄕歌) 한 자락이 들려온다.
반갑다.


해신당에 모셔져 있는 처녀상

www.pjnonsul.com
   강릉(江陵)이 눈에 닿는다.
38대 원성왕(元聖王 : 785~799)이 된 괘릉(掛陵)주인공(主人公) 김경신(金敬信)에게 왕위(王位)를 놓친 김주원(金周元)강릉군왕(江陵君王)()해져 () 많은 ()을 살았을 이곳 강릉(江陵)신라이후(新羅以後) 계속 방외인(方外人)배출(輩出)한 곳이다.
조선(朝鮮) 세종조(世宗朝)신동(神童)이며, 경주(慶州) 남산(南山) 용장사지(茸長寺址)에서 한문소설(漢文小說)효시(嚆矢)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었고, 우리들에겐 생육신(生六臣)의 한명으로 기억(記憶)되는 매월당<梅月堂, 청한자(淸寒子), 동봉(東峯), 벽산청은(碧山淸隱), 췌세옹(贅世翁)> 김시습(金時習)김주원(金周元)후손(後孫)으로 강릉(江陵) 김씨(金氏)이고, 사회소설(社會小說)선두(先頭)인『홍길동전(洪吉童傳)』의 저자(著者)이며, 유재론(有才論)-身分貴賤을 떠나서 재주가 있는 사람을 등용(登用)하여야 한다는 허균(許筠의 논설(論說)-으로 서자(庶子)들의 ()대변(代辯)하다, 결국(結局) 칠서(七庶)()으로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한 교산(蛟山) 허균(許筠 : 1568~1618) 역시 강릉(江陵) 외가(外家)에서 출생(出生)하였다고 하니, 이곳 강릉(江陵)유사(有史) 이래(以來)강직(剛直)한 선비를 배출한 고장으로 자리매김 하기에 충분(充分)하다고 할 수 있다.
아마도 그 옛날 서라벌(徐羅伐)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의 자유로운 기개(氣槪)가 이 땅에서 아직도 숨 쉬고 있는 증거(證據)가 아닐까 한다.


해신당

www.pjnonsul.com
   강릉시 저동 94번지에 있는 경포대(鏡浦臺)고려(高麗) 충숙왕(忠肅王) 13년(1326) 강원도(江原道) 안렴사(按廉使) 박숙정(朴淑貞)에 의해 () 방해정(放海亭) 뒷산 인월사(印月寺) 터에 처음 지어졌다고 한다.
그 후 조선(朝鮮) 중종(中宗 : 1506~1544) 3년(1508) 강릉부사(江陵府使) 한급(韓汲)이 현 위치(位置)로 옮긴 후 여러 차례 보수공사(補修工事)를 하였다고 한다. www.pjnonsul.com
   경포대(鏡浦臺)주유천하(周遊天下)화랑국선(花郞國仙)부터 시작(始作)하여 고려(高麗) 조선조(朝鮮朝)를 거치며, 그동안 수많은 시인묵객(詩人墨客)들의 유람(遊覽)대상(對象)이었다.
그들이 여기 경포대(鏡浦臺)의 아름다운 풍광(風光)을 ‘경포8경(鏡浦8景)’이라고 명명(命名)하여, 화랑국선(花郞國仙)전통(傳統)()을 이으려고 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경포8경(鏡浦8景)’은 녹두일출(綠荳日出), 죽도명월(竹島明月), 강문어화(江問漁火), 초당취연(草堂炊煙), 홍장야우(紅粧夜雨), 증봉낙조(甑峰落照), 환선취적(喚仙吹笛), 한송모종(寒松暮鍾)이다.
그 중 환선취적(喚仙吹笛)한송모종(寒松暮鍾)화랑국선(花郞國仙)들과 연관(聯關)명명(命名)으로 보인다.
www.pjnonsul.com
   환선취적(喚仙吹笛)에서 ()화랑(花郞)들의 별칭(別稱)이고,『삼국유사(三國遺事)월명사(月明師) 도솔가조(兜率歌條)에 나오듯 화랑(花郞)들은 향가(鄕歌)와 젓대에 ()하였다는 기록(記錄)을 보면, 아마도 경포대(鏡浦臺)화랑국선(花郞國仙)들의 중요(重要)유오산수처(遊娛山水處)가 되어 이렇게 명명(命名)되었지 않았을까 한다.


해신당 가는 길

www.pjnonsul.com
   또한 한송모종(寒松暮鍾)한송정(寒松亭)녹두정(菉荳亭)이라고도 불렀던 곳으로 옛 신라(新羅)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이 명산대천(名山大川)으로 유오산수(遊娛山水)하면서 이곳에서 심신(心身)을 쉬고자 할 때, ()를 달여서 마음을 정화(淨化)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지금 이곳에는 당시(當時) 찻물로 이용(利用)된 돌우물(돌샘)과 ()를 달이던 돌절구(石臼)를 뜻하는 연단석구(鍊丹石臼)라고 새겨진 돌이, 천 수 백년(百年)풍상(風霜)을 안고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의 역사(歷史)를 말해주고 있다.
www.pjnonsul.com
   경포대(鏡浦臺)는 이름 그대로 우리들에게 먼 전설(傳說)명경(明鏡)처럼 보여주고 있다.
조금씩 일렁이는 호수(湖水)의 잔잔한 물결에 달 밝은 밤이 찾아오면, 조선(朝鮮)의 으뜸 가객(歌客)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 1587~1671)의 <오우가(五友歌)>처럼 다섯 달이 친근(親近)하게 우리를 포근히 감싸 안는다.
www.pjnonsul.com
   첫째가 하늘에 떠있는 달이며, 둘째가 출렁이는 호수(湖水) 물결에 춤추는 달이며, 셋째는 파도(波濤)반사(反射)되어 어른거리는 달이고, 넷째는 정자(亭子) 위에서 벗과 나누어 마시는 술잔 속의 달이며, 마지막 다섯째 달은 벗(님)의 눈동자에 깃든 달이라고 한다.


매년 정월 대보름에 주민들이 만든 남근들이 해신당 가는 길에 메달려 있다.

www.pjnonsul.com
   경포대(鏡浦臺)의 밤은 쉬이 나그네를 놓아 줄 것 같지 않다.
서둘러 ()를 몰고 속초(束草)로 간다.
이번 화랑(花郞) 흔적(痕迹) 찾기 기행(紀行)의 마지막 종착역(終着驛)이 될 것 같다.
그 옛날 화랑국선(花郞國仙)들이 삼국(三國)통일(統一)기상(氣像)을 품은 곳을 하나씩 걸어보는 기쁨은 어찌 보면 탐방자(探訪者)에게는 대단한 행운(幸運)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변해버린 산하(山河)신음(呻吟)소리를 듣는 것 같아 못내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양양 낙산사(洛山寺)는 끝내 외면(外面)해 버렸다.
의상대(義湘臺)다행(多幸)히 산불을 피했다고는 하나, 앙상한 몰골을 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지나쳐 버렸다.


경포대 전경


연암 박지원의 국화도

www.pjnonsul.com
   후일(後日) 다시 무성(茂盛)할 낙산사의 적송(赤松)기대(期待)하면서, 더불어 조금씩 희망(希望)도 함께 피어오르는 것이 보인다.
성낸 얼굴의 화랑국선(花郞國仙) 한 무리가 지나간다.
미안할 따름이다.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餘裕  2.運命  3.始作  4.自然  5.逆行  6.人間  7.所見  8.慘憺  9.結果  10.傳說  11.行列  12.生鮮  13.行商  14.三三五五  15.八字  16.丘陵  17.公園  18.入口  19.示威  20.卒業  21.結婚  22.約束  23.採取  24.住民  25.自身  26.陽物  27.致誠  28.正月  29.實物  30.祭祀  31.畵像  32.祭壇  33.九天  34.便安  35.安全  36.諧謔  37.昇華  38.百姓  39.發見  40.楓嶽  41.奇巖怪石  42.經過  43.絶景  44.花郞  45.充分  46.斟酌  47.活氣  48.氣運  49.鄕歌  50.輩出  51.神童  52.嚆矢  53.記憶  54.後孫  55.著者  56.登用  57.庶子  58.代辯  59.結局  60.外家  61.剛直  62.氣槪  63.證據  64.高麗  65.位置  66.遊覽  67.對象  68.風光  69.命名  70.傳統  71.別稱  72.記錄  73.重要  74.新羅  75.名山大川  76.心身  77.淨化  78.石臼  79.百年  80.風霜  81.親近  82.反射  83.亭子  84.痕迹  85.紀行  86.幸運  87.山河  88.呻吟  89.外面  90.多幸  91.後日  92.茂盛  93.期待  94.希望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