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낭승(郎僧) 월명사의 <도솔가(兜率歌)>, <제망매가(祭亡妹歌)>


비 온 뒤의 맑음이란 가로수(街路樹)의 푸른 춤사위가 아니더라도 한껏 상쾌함을 불러온다.
울산(蔚山)으로 내달리는 산업도로(産業道路)삼국통일위인전(三國統一偉人殿) 갈림길 배반동에 이르렀다.
눈앞에 펼쳐지는 진산(眞山) 금오산(金鰲山)-南山-이 우거진 녹음(綠陰)으로 모내기 준비(準備)가 막 시작된 논 구덩이 맑은 물에서 너울춤에 신명(神明)이 나있다. www.pjnonsul.com
   낭산(狼山)을 바라보며 길을 건너니 여기가 신유림(神遊林)에 세워진 사천왕사(四天王寺)였음을 짐작(斟酌)하게 해 주는 당간지주(幢竿支柱)문두루비법(文豆婁秘法)-밀교의 비법-으로 당군(唐軍)을 물리친 위용(威容)을 말없이 자랑하고 있다.


사천왕사 당간지주

www.pjnonsul.com
   때는 삼국통일(三國統一)완수(完遂)하고도 ()침략(侵略) 야욕(野慾)으로 이 땅에 병화(兵禍)가 그칠 날이 없던 문무왕시대(文武王時代). 674() 2() ()나라에 있던 김인문(金仁問)으로부터 당군(唐軍)의 침략계획(計劃)을 들은 의상대사(義湘大師)가 급히 귀국(歸國)하여 문무왕(文武王)에게 보고(報告)하였다.
이에 ()명랑법사(明朗法師)에게 계책(計策)을 물으니, 명랑(明朗)낭산(狼山) 남쪽 신유림(神遊林)사천왕사(四天王寺)를 세우고 도량(道場)을 열 것을 권유(勸諭)하였다.
그러나 당군(唐軍)침략(侵略)목전(目前)에 다가오니, 명랑(明朗)은 우선 채백(彩帛)으로 절을 짓고 풀로써 오방(五方)신상(神像)을 만들어 유가명승(瑜伽明僧) 12인과 함께 문두루비법(文豆婁秘法)으로 당군(唐軍)의 배를 모조리 격파(擊破)하였다.
() 5년 뒤 문무왕(文武王) 19년(679) 절을 낙성(落成)하여 사천왕사(四天王寺)라 하였다.


선덕여왕의 ‘지기삼사(知幾三事)’의 하나인 옥문곡(점선)

www.pjnonsul.com
   일찍이 선덕여왕(善德女王)유언(遺言)으로 자신(自身)도리천(忉利天)장사(葬事)지내라고 하였으나, 신하(臣下)들은 도리천(忉利天)은 하늘 위에 있는 것이라 하여 재차(再次) 물으니 도리천(忉利天)낭산(狼山) 산정(山頂)이라고 답하였다.
이 때 이르러 낭산(狼山) 남쪽 신유림(神遊林)사천왕사(四天王寺)를 세우니 비로소 여왕(女王)예견(豫見)이 맞았다고 한다.
부처님의 나라 도리천(忉利天)사천왕(四天王)이 있는 사왕천(四王天) 위라고 하였으니, 옥문곡(玉門谷)백제군(百濟軍) 매복(埋伏)을 알았고, 모란에 향기(香氣)가 없음을 또한 알아맞힌 여왕(女王)혜안(慧眼)감탄(感歎)을 넘어 가벼운 전율(戰慄)천년시공(千年時空)을 넘어 옷깃을 파고든다. www.pjnonsul.com
   무너진 흙을 밟으며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에 올라 통일전(統一殿)을 바라보니 월명리(月明里)가 아스라이 다가오는 것 같다.
그날 밤 달빛이 교교(皎皎)하게 흐르던 사천왕사(四天王寺) 앞길엔 어디선가 홀연히 들려오는 피리소리가 있었다.
위대한 화랑승(郞僧) 월명사(月明師)가 길을 걸으며 달빛에게 피리를 들려주었던 것이다.
너무나 고요하게 퍼져나가는 젓대소리에 달빛도 가던 길을 멈추고, 계수(桂樹)나무 소리도 잠재운 채 두 귀를 쫑긋 하였다.
밝은 달은 아마도 화랑국선(花郞國仙)숭고(崇高)기상(氣像)경의(敬意)를 표했을 지도 모를 일이다.
() 서라벌(徐羅伐) 불국토인(佛國土人)들은 이 마을을 월명리(月明里)라 불렀다고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記錄)되어 ()한다.


무너진 석탑의 옥개석이 화려했던 천 년 신라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www.pjnonsul.com
   따뜻한 가슴의 소유자(所有者) 또는 강력(强力)정복군주(征服君主)라고 상반(相反)되게 알려진 진흥왕(眞興王)청소년(靑少年) 교육(敎育)일환(一環)으로 만든 화랑도(花郞徒)삼국통일(三國統一)완성(完成)직후(直後) 신문왕(神文王) 원년(元年) 화랑 김흠돌(金欽突)()으로 화랑(花郞)폐지(廢止)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신라인(新羅人)들의 정신적(精神的) 표상(表象)이었던 화랑(花郞)이 갑자기 자취를 감추었다고 하기엔 무리가 따른다고 하겠다.
특히 경덕왕(景德王) 19년(760) 4월 초하룻날 기록(記錄)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www.pjnonsul.com
   『삼국유사(三國遺事)감통(感通) 월명사(月明師) 도솔가조(兜率歌條)를 보면 이 날 하늘에 해가 둘이 나타났다고 한다.
천문관리(天文官吏)의 말에 인연(因緣) 있는 중을 ()하여 산화공덕(散花功德)을 베풀면 변고(變故)퇴치(退治)할 수 있다고 한다.
()조원전(朝元殿)불단(佛壇)을 만들고 청양루(靑陽樓)로 가서 인연(因緣)이 닿는 중을 기다렸다.
사천왕사(四天王寺) 남쪽 길로 가던 월명사(月明師)()이 불러 오게 하여 기도(祈禱)를 시작하라고 하였으나, 월명(月明)은 “저는 화랑국선(花郞國仙)으로 향가(鄕歌)만 알 뿐 불교(佛敎) 노래는 잘 알지 못 합니다”고 말한다.
그러자 경덕왕(景德王)은 이왕 인연(因緣) 있는 중을 만났으니 향가(鄕歌)를 불러도 좋다고 한다.
이에 월명(月明)도솔가(兜率歌)를 지어 부르니 얼마 후에 해의 변괴(變怪)가 없어졌다.
()이 가상히 여겨 차 한 봉과 수정(水晶) 염주(念珠) 108개를 주었다.
향가(鄕歌) <도솔가(兜率歌)>는 한자(漢字)의 소()()을 빌어 우리말로 표기한 문자(文字) 향찰(鄕札)로 기록되어 ()한다.
현대어(現代語)로 풀어 보면.


사천왕사지 발굴 현장(심초석 드잡이 행사)

www.pjnonsul.com
  
오늘 이에 산화가(散花歌) 부를 제  今日此矣散花唱良
뿌린 꽃아 너는   巴寶白乎隱花良汝隱
곧은 마음의 ()을 따라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미륵좌주(彌勒座主) 모셔라.   彌勒座主陪立羅良


사천왕사지 발굴 현장. 월명사의 흔적이 한아름 발견되었으면 하고 바래본다.

www.pjnonsul.com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월명사(月明師)신분(身分)낭승(郞僧)으로 묘사(描寫)되어 있다.
신문왕(神文王)폐지(廢止)화랑(花郞)신라문화(新羅文化) 최고(最高) 난숙기(爛熟期)경덕왕(景德王) 시절(時節)에 오면 삼국통일(三國統一)선봉장(先鋒將)으로서의 호국무사(護國武士) 기능(機能)약화(弱化)되고, 명산대천(名山大川)유람(遊覽)하면서 그들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키우며 향가(鄕歌)도 지어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최근(最近)필사본(筆寫本)발견(發見)되어 진위논쟁(眞僞論爭)이 한창인 김대문(金大問)이 지은『화랑세기(花郞世紀)』를 보면, 진흥왕(眞興王) 때 처음 조직(組織)화랑(花郞)의 무리들은 시조묘(始祖廟)오악삼산(五岳三山)제사(祭祀)를 지내는 것이 () 임무(任務)였다고 한다.
이 때 자연스럽게 심신(心身)단련(鍛鍊)하는 무예(武藝)를 익히게 되었을 것이고, 삼국통일(三國統一)와중(渦中)에서 호국무사(護國武士)로서의 기능(技能)확대(擴大) 되고, 통일(統一) () 김흠돌(金欽突)()계기(契機)무예(武藝)보다는 정신적(精神的) 지주(支柱) 역할(役割)로 옮겨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월명사(月明師)의 애끓는 형제애(兄弟愛)심정(心情)을 읊은 향가(鄕歌) <제망매가(祭亡妹歌)>를 들으면 현실(現實) 삶을 초탈(超脫)한 스님의 모습보다는 나약(懦弱)인간(人間)으로서 현세(現世) 삶과의 이별(離別)의 안타까움을 노래하고 있으니 말이다.


▲벌지지의 갈대가 제상의 아픔을 되새기고 있다. ▶장사 벌지지 표지석

www.pjnonsul.com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죽은 누이를 위해 향가(鄕歌) <제망매가(祭亡妹歌)> 지어 ()를 올리니 지전(紙錢)서쪽방향(西方淨土)으로 사라졌다 한다.
월명사(月明師) 도솔가조(兜率歌條) 마지막 부분(部分)을 보면 향가의 주술성(呪術性)표현(表現)하는 일연(一然)스님의 생각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곧 “신라(新羅) 사람들은 향가(鄕歌)숭상(崇尙)한지가 오래 되었으며, 천지귀신(天地鬼神)감동(感動)시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라고 하여 당시 서라벌인(徐羅伐人)들의 향가관(鄕歌觀)을 알 수 있다고 하겠다.
향가(鄕歌)숭상(崇尙)한지가 오래 되었고, 천지귀신(天地鬼神)까지도 감동(感動)시켰다는 일연(一然)스님의 말에서 향가(鄕歌)단순(單純)히 노래가 아니라 신라인(新羅人)들의 염원(念願)에서 생성(生成)되고 불리어 졌다고 보여 진다.
또한 당시(當時) 서라벌(徐羅伐) 사람이라면 누구나 향가(鄕歌)를 알았고, 필요시(必要時) 향가(鄕歌)이용(利用)했다고 할 수 있다 하겠다.
경덕왕(景德王)향가(鄕歌) 부르기 요청(要請)즉석(卽席)에서 향가(鄕歌)를 불렀다고 하는데서 판단(判斷)되듯이, 조선시대(朝鮮時代) 시조(時調)처럼 기존(旣存)음률(音律)()해져 있고, 노랫말만 즉석(卽席)에서 지었다고 생각된다.


망덕사지 원경

www.pjnonsul.com
   현전(現傳)하는 향가(鄕歌)최고(最高)서정시(抒情詩)인정(認定)받고 있는 월명사(月明師)의 <제망매가(祭亡妹歌)>를 불러보면. www.pjnonsul.com
  
삶과 죽음의 길이란   生死路隱
여기 있으려나 있을 수 없어  此矣有阿米次肹伊遣
나는 간다는 말도   吾隱去內如辭叱都
못다 이르고 가버리는가   毛如云遣去內尼叱古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於內秋察早隱風未
이리저리 떨어질 나뭇잎처럼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한 가지에서 나고   一等隱枝良出古
가는 곳 모르는구나   去奴隱處毛冬乎丁
아아, 미타찰(彌陀刹 :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 정토)에서 만날 것이니  阿也彌陁刹良逢乎吾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道修良待是古如
www.pjnonsul.com
   죽음이라는 것이 한 가지에 난 형제(兄弟)를 아픈 이별(離別)로 이끈다는 월명사(月明師)표현(表現)에서 낭승(郎僧)에서 한 사람의 자연인(自然人)으로 돌아와 누이의 극락왕생(極樂往生)을 비는 순수(純粹)정감(情感)이 오래도록 우리들의 가슴을 적시게 한다.
www.pjnonsul.com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남쪽 황토(黃土) 논밭 중간에 우뚝 솟은 망덕사지(望德寺址) 당간지주(幢竿支柱)가 보이고, 그 앞 남천(南川)신라(新羅) 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부인(夫人)고구려(高句麗)에서 복호(卜好)를 구하고, 바로 미사흔(未斯欣)구출(救出)하러 왜국(倭國)으로 떠난 남편(男便)을 부르며, 친지(親知)들의 부축(副軸)에도 다리를 뻗고 일어서지 않았다는 남천(南天) 모래밭 ‘벌지지(伐知旨)’의 슬픈 전설(傳說)()하여져 온다.
월명사(月明師)사천왕사(四天王寺)에서 피리를 불며, 망덕사(望德寺)를 지나 이곳 ‘벌지지(伐知旨)’에서 치술신모(鵄述神母)가 된 충신(忠臣) 박제상부인(朴堤上夫人)의 넋을 위로(慰勞)했을 것이리라. www.pjnonsul.com
   현재 낭산(狼山)일제(日帝) 철길로 잘리고, 사천왕사(四天王寺) 앞은 굉음(轟音)개발(開發) 신작로(新作路)가 놓여 있어 옛날 월명사(月明師)가 피리를 불면서 거닐었던 한길은 짐작(斟酌)하기 어렵지만, 아마도 월명(月明)은 절을 나와서 망덕사(望德寺)를 돌아 서출지(書出池) 쪽으로 피리를 불며 걸어갔던 것으로 여겨진다.
월명리(月明里)사천왕사(四天王寺)에서 서출지(書出池)로 가는 길 옆 어디엔가 있었을 것이다.
지금 월명(月明)이 걸었던 길을 걷고 있노라니 어디선가 한줄기 바람이 예가 월명리(月明里)라고 속삭인다.
바람소린가? 피리소린가?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神明  2.斟酌  3.威容  4.完遂  5.侵略  6.野慾  7.計劃  8.歸國  9.報告  10.計策  11.明朗  12.道場  13.勸諭  14.目前  15.神像  16.擊破  17.自身  18.臣下  19.山頂  20.豫見  21.埋伏  22.香氣  23.感歎  24.戰慄  25.崇高  26.記錄  27.强力  28.相反  29.敎育  30.完成  31.直後  32.元年  33.花郞  34.廢止  35.表象  36.因緣  37.變故  38.退治  39.祈禱  40.鄕歌  41.佛敎  42.變怪  43.文字  44.鄕札  45.身分  46.描寫  47.機能  48.弱化  49.名山大川  50.遊覽  51.浩然之氣  52.發見  53.組織  54.祭祀  55.任務  56.心身  57.渦中  58.技能  59.擴大  60.契機  61.支柱  62.役割  63.心情  64.現實  65.超脫  66.懦弱  67.人間  68.現世  69.紙錢  70.西方淨土  71.部分  72.表現  73.新羅  74.崇尙  75.感動  76.單純  77.生成  78.要請  79.卽席  80.判斷  81.音律  82.認定  83.兄弟  84.純粹  85.情感  86.忠臣  87.夫人  88.救出  89.男便  90.親知  91.傳說  92.慰勞  93.開發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