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선화공주(善化公主)의 사랑노래 <서동요(薯童謠)> 下


이른 새벽 아직 안개도 걷히지 않은 궁궐문(宮闕門)을 나서는 선화공주(善化公主)의 발걸음은 천근만근(千斤萬斤)이었다.
초라한 노복(奴僕) 몇과 나귀 한 마리가 전부(全部)행렬(行列)을 머얼리 누각(樓閣)에서 바라보던 진평대제(眞平大帝)는 눈물의 주책없음이 이내 용포자락이 흥건함을 느낀다.


진평왕릉 옆의 보문리사지 당간지주

www.pjnonsul.com
   그것은 보내지 말아야 할 이별(離別)이면서, 보내야만 하는 한나라의 제왕(帝王)으로서의 이별(離別)이었다. www.pjnonsul.com
   황후(皇后)라고는 하지만 후사(後嗣)를 이을 성골(聖骨) 태자(太子)하나 생산(生産)하지 못했던 선화공주(善化公主)모후(母后)마야부인(摩耶夫人)간장(肝腸)이 끊어질 것 같은 심정(心情)으로 선화(善化)의 옷깃을 붙잡았을 것이다.
물론 궁궐(宮闕)에선 흔하디흔한 순금(純金) 한말을 노자(路資)로 주었지만, 그래도 마음은 달려 나가 선화(善化)행렬(行列)을 붙잡고 싶었다.
맏딸 만명(萬明)-『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둘째딸로,『화랑세기(花郞世紀)』에는 맏딸로 기록되어있다.-은 이미 용춘(龍春)-龍樹라고도 함, 신라(新羅) 29대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의 아버지-에게 시집갔고, 둘째 덕만(德曼)여장부(女丈夫)로서 아버지 진평대제(眞平大帝)를 이을 후사(後嗣)로 자신을 담금질하고 있었으나, 셋째 선화공주(善化公主)는 마냥 천진난만(天眞爛漫)하게 진평대제(眞平大帝) 내외(內外)에게는 사랑 그 자체(自體)였을 것이다.


뒷편에 보이는 산이 용화산이다.(지금도 사자암이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www.pjnonsul.com
   만약 이때 선화공주(善化公主)서동(薯童)계책(計策)에 휘말리지 않았다면 덕만(德曼)언니-신라(新羅) 27대 선덕여왕(善德女王)-를 뒤이어 왕위(王位)에 올랐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선덕여왕(善德女王)삼서제(三壻制)에 의한 세 번의 결혼(結婚)에서도 후사(後嗣)가 없어 결국 사촌(四寸)동생인 진평왕(眞平王)의 동생 국반(國飯)의 딸 승만(勝曼)왕위(王位)에 올라 신라(新羅) 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이 되니 말이다.
그래서 역사(歷史)에는 가정법(假定法)이 없다고 하지 않았던가?


전북 익산 미륵사지에 복원된 동탑[익산시청 제공]

www.pjnonsul.com
   신라(新羅)삼한(三韓) 통합(統合)원류(原流)화랑정신(花郞精神)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화랑(花郞)들이 그들의 생각의 폭을 무한대(無限大)확장(擴張)하게 한 뒤 배경(背景)에는 동양(東洋) 역사상(歷史上) 신라(新羅)에만 역사서(歷史書)기록(記錄)되어 있는 여왕(女王)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일본(日本) 역사(歷史)에서 뗄 수 없다는 ‘비미호(卑彌呼)여왕(女王)신공왕후(神功皇后)가 있고, 중국(中國)에는 ‘무측천(武則天)’이 여자(女子)로서 한나라를 짊어졌다고 하지만, 신라(新羅)처럼 역사(歷史)전면(前面)에서 여성(女性)군주(君主)로서 삼국통일(三國統一)기반(基盤)조성(造成)한 것은 그 유래(由來)가 없다고 하겠다. www.pjnonsul.com
   경상도(慶尙道) 방언(方言) 아니 천수백 년 전의 한반도(韓半島) 표준어(標準語)에 ‘뱀이 잘할까’ ‘비미 잘할까’라고 하는 말이 있다.
물론 지금도 사라지지 않고 우리의 언어생활(言語生活)풍요(豊饒)롭게 하고 있다.
이 말의 뜻은 다른 사람보다 월등(越等)실력(實力)을 갖추고, 모든 행동거지(行動擧止)를 올바르게 잘한다는 말이다.
일본(日本) 역사(歷史)서막(序幕)을 열었다고 일본인(日本人)들이 숭앙(崇仰)해 마지않는 여왕(女王)이 ‘비미호(卑彌呼)여왕(女王)이라고 하니 우리네 말로 보면 의미심장(意味深長)하다고 할 수 있다. www.pjnonsul.com
   봉계로 가는 시내버스 차창(車窓)으로 스치는 논배미는 이미 모내기철이 한창이고, 그날 선화공주(善化公主)가 귀양길에 걸었던 멀어만 보이는 부여(夫餘)길이 예였을 것이다.
봉계를 지나 국도(國道) 35호선 두동면 인박산(咽薄山) 기슭이 슬픈 눈물의 선화공주(善化公主)심정(心情)으로 촉촉이 젖어 있다.
아마 이즈음에서 서동(薯童)선화공주(善化公主)의 귀양 행렬(行列)을 기다렸을 것이다.


전북 익산 미륵사지 앞 연못에 용화산과 미륵사 동서탑이 삼존불인양 아련히 나타나고 있다.

www.pjnonsul.com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갑자기 서동(薯童)이가 나타나 공주(公主)호종(扈從)하겠다고 하니 우연히 마음이 이끌려 부부(夫婦)()을 맺었다고 한다.
길 옆 자그만 풀꽃들의 꽃술로 쉼 없이 날아드는 벌 나비가 그날의 현장(現場)을 오래도록 기억(記憶)하고, 지금도 나그네의 발길을 서동(薯童)선화(善化)의 로멘스 현장(現場)이게 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가만히 접사(接寫)렌즈 앵글이 아름다운 세기(世紀)의 사랑에 엄숙(嚴肅)하다고 할 밖에… www.pjnonsul.com
   부여(夫餘)도착(到着)서동(薯童)선화공주(善化公主)가 바구니 한 가득 무겁게 가지고 오는 물건(物件)을 보고 의아(疑訝)하게 물었다.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物件)이오?” 그러자 선화공주(善化公主)는 “이것은 보배롭고 귀중(貴重)한 금이라는 것으로써 이것만 있으면 앞으로 편히 지낼 수 있을 것이오.”한다.
이에 서동(薯童)은 “예전 내가 ()를 캐던 곳에는 이것과 같은 것이 산더미처럼 많았소.”라며 웃으면서 답한다.
두 사람은 곧 이 ()을 캐내어 지명법사(知命法師)신통력(神通力)으로 신라궁전(新羅宮殿)에 보내 진평대제(眞平大帝)의 마음을 안심(安心)시켜 주었다고 한다. www.pjnonsul.com
   하루는 서동(薯童)선화공주(善化公主)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불공(佛供)을 드리러 갈 때, 도중(途中)에 한 연못에 미륵삼존불(彌勒三尊佛)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공주(公主)()함에 따라, 다시 지명법사(知命法師)신통력(神通力)으로 못을 메워 절을 지으니 ‘미륵사(彌勒寺)’라고 한다.
이 때 진평대제(眞平大帝)백공(百工)을 보내어 절의 완성(完成)을 도우니, 이 후 서로 안부로써 편지(便紙)를 주고받아, 이로써 인심(人心)을 얻어 서동(薯童)백제(百濟) 제 29대 무왕(武王)으로 등극(登極)하게 된다고 『삼국유사(三國遺事)』는 ()한다.
www.pjnonsul.com
   지금도 미륵사(彌勒寺)가 있는 전라북도(全羅北道) 익산(益山)에 가면 왕궁면(王宮面) 왕궁리(王宮里) 왕궁평성(王宮坪城)이 있고, 서동(薯童)이의 탄생지(誕生地)마룡지(馬龍池), 서동(薯童)이와 선화공주(善化公主)음택(陰宅)인 ‘말통대왕릉’과 조금 떨어진 곳에 공주(公主)능묘(陵墓)가 있어서 향가 <서동요(薯童謠)>가 한낱 허구(虛構)에 찬 기록(記錄)이 아님을 말해 주고 있다.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의 백제 궁성 발굴 현장.(이곳에 오층석탑이 날렵하게 서 있다)

www.pjnonsul.com
   향가 <서동요(薯童謠)>의 배경설화(背景說話)()이 산더미처럼 많다고 하는 이 곳 익산(益山)은, 신라(新羅)삼한(三韓)통일(統一)하고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 유민(流民)유화정책(宥和政策)으로 포섭(包攝)할 때, 고구려(高句麗) 왕족(王族) 안승(安勝)을 ‘보덕국왕(報德國王)’으로 임명(任命)하여 금마저(金馬渚)에 살게 하였다고 하는 곳이다.
익산(益山)의 옛 지명(地名)금마저(金馬渚)이고 뒷산 이름이 오금산(五金山)인 것으로 보아 서동(薯童)이의 ()에 관한 말이 사실임을 짐작(斟酌)하게 해준다.


전북 익산 미륵사지 전경

www.pjnonsul.com
   지금 경주(慶州)익산(益山)서동(薯童)선화공주(善化公主)의 숨결 찾기 행사(行事)를 십여 년 넘게 해오고 있다.
천여 년의 시공(時空)초월(超越)한 두 지방민(地方民)의 아름다운 심성(心性)에 머리가 숙여진다.
익산(益山)왕궁평성(王宮坪城)을 나와 시내(市內) 중심가(中心街)로 가는 길에 유난히 눈길을 끄는 포장마차(布帳馬車) 간판(看板)탐방자(探訪者)를 붙잡아 머무르게 한다.
신라(新羅)의 달밤’이라고…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奴僕  2.全部  3.行列  4.帝王  5.皇后  6.後嗣  7.聖骨  8.太子  9.生産  10.肝腸  11.心情  12.宮闕  13.新羅  14.內外  15.自體  16.計策  17.結婚  18.四寸  19.統合  20.原流  21.花郞  22.擴張  23.背景  24.記錄  25.君主  26.基盤  27.造成  28.由來  29.方言  30.豊饒  31.越等  32.實力  33.行動擧止  34.序幕  35.崇仰  36.意味深長  37.國道  38.公主  39.夫婦  40.現場  41.記憶  42.世紀  43.嚴肅  44.到着  45.物件  46.疑訝  47.貴重  48.安心  49.佛供  50.途中  51.完成  52.便紙  53.人心  54.登極  55.虛構  56.包攝  57.王族  58.任命  59.地名  60.斟酌  61.行事  62.超越  63.心性  64.市內  65.看板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