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화랑세기(花郞世紀)』가 던지는 말없는 의문들 上.


설악산(雪嶽山) 꼭대기에서는 고이 접어 아름다운 단풍(丹楓)나라 선녀(仙女)님들이 오늘도 살금, 사뿐이 나들이에 들떠 신이 나 있다.
아래 너머 보이는 영랑호반(永郞湖畔)에는 화랑(花郞) 사선(四仙)이 빈 배를 매만지며, 다가올 가을 달밤의 세레나데 준비(準備)여념(餘念)이 없다.
천여 년 지나도록 그들의 유풍(遺風)만이 쓸쓸히 호수(湖水)가 나뭇잎에 걸리어, 오락가락 흔들리며 이제나 저제나 언제쯤 진정(眞情)화랑(花郞)들의 숨결을 찾아 이곳까지 님들이 올 것인가 하는 기다림의 연속(連續)이다.


가을 단풍이『화랑세기』의 의문을 말해 줄 수 있을까?

www.pjnonsul.com
   며칠 전부터 온갖 미디어들은 인문학(人文學)위기(危機)라는 주제(主題)로 자기네들만의 어조(語調)로 시끌벅적 야단(野壇)법석(法席)이다.
과연(果然) 인문학(人文學)위기(危機)인가? 그렇다면 인문학(人文學)위기(危機)를 넘어설 수 있는 특단(特段)방안(方案)은 없을까. 조금이라도 그들만의 학풍(學風)에서 벗어나면 그들이 ()조직(組織)에서는 사망(死亡)이라는 어느 중앙일간지(中央日刊紙) 기사(記事)를 보면서, 과연 인문학(人文學)이란 무엇일까라는 커다란 의문(疑問)이 가시지 않는다.
오래된 고전(古典) 책속의 진리(眞理)함몰(陷沒)되어, 책 밖의 어느 지식(知識)도 파고들어 가기가 무척 힘이 들어 보이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뿐이다. www.pjnonsul.com
   1989년 2월 난데없이 천 삼백여년 동안이나 자취를 감추었던『화랑세기(花郞世紀)』가 발견(發見)되었다.
부산(釜山)국제신문(國際新聞)에서 시작(始作)발견기사(發見記事)중앙(中央)의 서울신문에서 발 빠르게 원문(原文)을 성글게 번역(飜譯)하여 열기(熱氣)를 이어갔다.
이어서 지방학계(地方學界)에서는 1989년 중반(中盤), 진본(眞本)일 것이란 성급(性急)결론(結論)을 내어놓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지금 2006년, 아직도 진위논쟁(眞僞論爭)은 꺼질 줄 모르게 학계(學界)감초(甘草)가 되어, 정확(正確)고증(考證)필요(必要)중요(重要)사안(事案)임에도 불구하고, 자신(自身)만의 짜놓은 각본(脚本)후학(後學)들의 연구(硏究) 성과(成果)를 가져다가 얽어매기에 정신(精神)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진정(眞情)화랑세기(花郞世紀)』는 진위(眞僞)를 가릴 수 없는 것일까.


『화랑세기』를 필사한 남당 박창화 선생의 다른 저작의 표지

www.pjnonsul.com
   1989년 발견(發見)된『화랑세기(花郞世紀)』는 서문(序文)에 이어 1세 풍월주(風月主) 위화랑(魏花郞)부터 15세 풍월주(風月主) 유신랑(庾信郞) 첫째 쪽까지가 전부(全部)였다.
그 후 1995년 서울대 노태돈 교수(敎授)에 의해서 발견(發見)된『화랑세기(花郞世紀)』는 4세 풍월주(風月主) 이화랑(二花郞) 전기(傳記)의 3쪽부터 32세 풍월주(風月主) 신공(信功)에 대한 것까지 있고, 162쪽에는 간단(簡單)발문(跋文)이 있다.
www.pjnonsul.com
   『화랑세기(花郞世紀)발문(跋文)에는 그 전기(傳記)편찬(編纂)이유(理由)편찬자(編纂者)에 대한 정보(情報)가 간단히 소개(紹介)되어 있어, 이 ()성격(性格)파악(把握)할 수 있는 최소한(最小限)의 코드를 제공(提供)하고 있다.
발문(跋文)을 보면, www.pjnonsul.com
   www.pjnonsul.com
   先考嘗以鄕音述花郞世譜 未成而卒 不肖以公暇 撮其郞政之大者 明其派脉之正邪 以紹先考 稽古之意 其或於仙史有一補者歟. www.pjnonsul.com
   돌아가신 아버지가 일찍이 향음(荒<거칠:황>宗 대신에, 우리 이름인 거칠부<居柒夫> 등 으로 표기하는 것을 가리킴)으로 화랑 세보를 저술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불초자식(김대문 자신을 가리킴)이 공무의 여가에 낭정의 큰일과 파맥의 정사를 모아 아 버지(김대문의 아버지 오기공)의 계고의 뜻을 이었다.
혹 선사에 하나라도 보탬이 있을 까? www.pjnonsul.com
   김대문(金大問)은 아버지 오기공(吳起公)-28세 풍월주(風月主)를 지냄-이 향음(鄕音)-한자(漢字)가차(假借)하여 신라식(新羅式) 우리말로 적은 것으로 판단됨-으로 기록(記錄)화랑(花郞)집안의 가승(家乘) 내지 가책(家冊)을 다 완성(完成)하지 못하고 돌아가시자, 한산주(漢山州) 도독(都督)을 지내면서 공무(公務)여가시간(餘暇時間)이용(利用)하여 화랑(花郞)들의 올바른 길과 그렇지 못한 그릇된 길을 가려 밝혀서, 화랑(花郞)들의 역사(歷史)선사(仙史)에 도움을 주려고 이 ()편찬(編纂)한 것으로 보인다.
www.pjnonsul.com
   사실『화랑세기(花郞世紀)』를 보면, 그동안 우리들이 알고 있었던 화랑(花郞)의 모습과는 너무나 판이(判異)하게 달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아니 어쩌면 머릿속의 온갖 화랑관련(花郞關聯) 지식(知識)총동원(總動員)하여도 조금도 부합(附合)되지 아니한 내용(內容)으로 가득 차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말 화랑(花郞)들은 사통(私通), 혼통(混通) 등으로 점철(點綴)된, 오늘날 우리들의 정체성(正體性)심각(深刻)혼란(混亂)을 줄 정도(程度)의 삶이 그들을 지배(支配)했을까. 누구라도 시원하게 이야기하기가 무척 어려운 것이 현금(現今)사실(事實)이다.
www.pjnonsul.com
   그러면『화랑세기(花郞世紀)』를 조선시대(朝鮮時代) 말기(末期)지식인(知識人)독특(獨特)한 글쓰기라고 치부(置簿)하여 그냥 지나쳐 버리는 것이 현명(賢明)처사(處事)일까. 이제 우리들은 여기에서 더 이상(以上)혼란(混亂)을 부채질하는 진위논쟁(眞僞論爭)을 제쳐두고,『화랑세기(花郞世紀)』를 필사(筆寫)한 것으로 알려진 남당(南堂) 박창화(朴昌和 : 1889~1962)에 대하여 약간의 정보(情報)수집(收集)해 보는 것이 올바른 방법(方法)이라는 생각이 든다.


『화랑세기』 본문(박창화의 장손자 박인규옹의 집에 보관되어 있다)

www.pjnonsul.com
   남당(南堂) 박창화(朴昌和)는 충북 청원군 오창면 ‘까치내’(충북 청원군 비석현)에서 근대화(近代化) 물줄기의 물꼬가 트이기 시작한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1876:일본(日本)항구개항(港口開港)을 위한 조약(條約)- 몇 해 ()인, 1889년 태어났다고 한다.
그의 아버지는 유가(儒家) 집안 출신(出身)으로 많은 서책(書冊)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7살에 어머니를 잃었고, 어린 시절(時節)부터 한학(漢學)을 익혔다고 한다.
() 그는 1900년대 초반(初盤) 한성사범(漢城師範)졸업(卒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가(小說家) 김팔봉(金八峰 : 1903~1985)이 1976년 5월 8일자 ‘일간스포츠’에 기고(寄稿)한 <마음속에 남는 사람 - 그 시대 그 () -: 영동초등학교(初等學校) 박창화(朴昌和) 선생(先生)>을 보면, 박창화(朴昌和)는 1913부터 1916년까지 영동소학교에서 교사(敎師)로 있으면서 조선어(朝鮮語)일어(日語), 체조(體操)를 가르쳤다고 한다.
이후(以後) 정확(正確)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일본(日本)으로 건너가 1934년 12월 11일부터 1945년 10월 31일까지 일본(日本) 궁내청(宮內廳) 서릉부(書陵部) 도서료(圖書僚)촉탁(囑託)으로 근무(勤務)하게 된다.
www.pjnonsul.com
   해방(解放) () 그는 청주사범(淸州師範)에서 두 학기(學期) 한국사(韓國史) 강의(講義)를 하였는데, 이때 강의(講義)를 들은 중앙대(中央大) 교수(敎授)증언(證言)에 의하면 “남당(南堂)선생(先生)단군론(檀君論)강역론(疆域論)화랑도(花郞道) 등에 관해 강의(講義)했으며, 화랑도(花郞徒)사서(史書)에서 ()하는 그 제정(制定) 시기(時期) 이전(以前)부터 존재(存在)했던 것 같다.”는 강의(講義)를 들었다고 한다.


『화랑세기』본문 첫머리[국제신문 제공]

www.pjnonsul.com
   그리고 2003년 숭실대 사학과(史學科) 강사(講師) 박환무씨에 의해 남당(南堂)이 1927~1928년 사이에 일본(日本)에서 발간(發刊)되는『중앙사단(中央史團)』이라는 역사학회지(歷史學會紙)에 <신라사(新羅史)에 대하여>란 논문(論文)을 두 세 차례 발표(發表)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어린 시절(時節) 한학(漢學)공부(工夫)하였고, 이후 한성사범(漢城師範)을 거쳐 소학교(小學校) 교사(敎師)근무(勤務)하다가 일본(日本)으로 건너간, 유학자(儒學者)이면서 교육자(敎育者)남당(南堂)궁내청(宮內廳) 도서료(圖書僚)근무(勤務)당시(當時) 필사(筆寫)한 것으로 보이는『화랑세기(花郞世紀)』는 정말 김대문(金大問)이 지은 것을 보고 필사(筆寫)한 것일까. www.pjnonsul.com
   조선후기(朝鮮後期)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 1880~1936(선생)이 나라의 올바른 정체성(正體性) 세우기 차원(次元)에서 강조(强調)한 것이 ‘낭가사상(郎家思想)’이라는 것을 우리는 안다.
물론 박창화(朴昌和)분명(分明) 이와 관련(關聯)신채호(申采浩)선생(先生)()을 보았을 개연성(蓋然性)충분(充分)히 있다.
만약『화랑세기(花郞世紀)』가 남당(南堂)창작물(創作物)이라는 연구자(硏究者)들의 말을 그대로 수긍(首肯)한다면, 과연(果然) 한학자(漢學者), 역사학자(歷史學者)이면서 특히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소학교(小學校) 조선인(朝鮮人) 선생(先生)으로서 난삽(難澁)한 화랑들의 기록인 『화랑세기(花郞世紀)』를 창작(創作)이유(理由)가 있었을까? www.pjnonsul.com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丹楓  2.花郞  3.餘念  4.遺風  5.眞情  6.危機  7.主題  8.語調  9.果然  10.方案  11.組織  12.記事  13.疑問  14.古典  15.眞理  16.陷沒  17.知識  18.發見  19.始作  20.中央  21.熱氣  22.眞本  23.性急  24.結論  25.學界  26.甘草  27.考證  28.必要  29.重要  30.自身  31.脚本  32.後學  33.硏究  34.精神  35.序文  36.全部  37.敎授  38.傳記  39.簡單  40.跋文  41.編纂  42.情報  43.性格  44.把握  45.提供  46.假借  47.記錄  48.完成  49.都督  50.公務  51.判異  52.附合  53.內容  54.私通  55.點綴  56.程度  57.支配  58.現今  59.事實  60.獨特  61.賢明  62.以上  63.筆寫  64.方法  65.儒家  66.卒業  67.寄稿  68.先生  69.敎師  70.體操  71.囑託  72.勤務  73.解放  74.學期  75.講義  76.證言  77.史書  78.制定  79.時期  80.存在  81.講師  82.發刊  83.發表  84.分明  85.關聯  86.充分  87.首肯  88.難澁  89.創作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