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임금님께 향가로 훈수(訓手)한 충담사 上


겨울비가 먼지 잘 만하게 내리고 있다.
자꾸 비님을 내려 보내시는 걸 보면 봄도 멀지 않았나 보다.
한겨울에 느끼는 봄에 대한 그리움은 또 하나의 문학(文學)을 낳는 도구(道具)인 것 같다.
정서(情緖)의 자연스러운 넘쳐남’이 ()라고 워즈워드는 말했다.
또한 ‘문학(文學) 당의정설(糖衣錠說)’ 역시 달콤한 포장(包裝)을 한 쓰디쓴 인생(人生)고뇌(苦惱)문학(文學)이라는 말인 셈이다.
물론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니까 먹게 하기 위해서 달콤한 꿀을 발라 놓았다고 당의정(糖衣錠)이라고 하지만, 너무 과도(過度)포장(包裝)만을 고집(固執)하다 보면 문학(文學)은 곧 뭍사람들의 곁에서 멀어져 버릴 것이다.


평생을 다시 태어난 화랑으로 살다 가신 고청선생님 기념비

www.pjnonsul.com
   오늘은 왠지 오래된 첫사랑의 소식이라도 들을 것 같은데, 마음은 밑바닥부터 쓰라려 오는 것은 동지(冬至)섣달 기나긴 밤을 독수공방(獨守空房)하는 것에 대한 솔직(率直)표출(表出)이라는 생각이 든다. www.pjnonsul.com
   훠이훠이 하이얀 두루마기가 금오산(金鰲山) 정상(頂上) 부근(附近)에서 자유로운 비상(飛翔)을 한다.
새로 태어난 화랑(花郞)으로 한평생(限平生)을 살다가 가신 고청선생(古靑先生)님이라도 뵙고 오는 게 마음이 어지러울 땐 훨씬 효과적(效果的)일 것 같다.
삼국통일위인전(三國統一偉人殿) 앞에 차를 버리고 서출지(書出池)에 앉아 본다.
지난여름 연꽃 향연(饗宴)동참(同參)하여 아무 말 없이 족히 서너 시간(時間)서출지(書出池) 주위(周圍)배회(徘徊)하였다고 생각된다.
그때 연꽃의 자태(姿態)가 어찌나 고운지 가슴으로 눈물을 삼켰던 기억(記憶)이 생생하다.
아마 충담사(忠談師)도 이 길을 걸으면서 수많은 향가(鄕歌)시상(詩想)을 떠올렸을 것이다.
지금 겨울 한가운데 꽁꽁 언 연못 사이로 향가(鄕歌)가 밝게 어리는 모습을 본다.
역시 아름답다.
그 어떤 노래가 이처럼 사람뿐만 아니고 귀신(鬼神)까지도 감동(感動)을 시킬 수 있을까?


남산쌍탑 가는 길에 있는 ‘서출지’

www.pjnonsul.com
   서출지(書出池)를 뒤로하고 남산(南山) 쌍탑(雙塔)에 닿았다.
잔디가 노랗게 변해져 양탄자라도 되는 양 꼬마 몇이 나뒹굴고 있다.
하하 호호 웃음이 싱그럽다.
또 한 무리의 서라벌(徐羅伐) 화랑(花郞)을 보는 것 같아 무척 반갑다.
어서어서 자라서 하늘 향해 두 팔을 마음껏 벌리고, 세계(世界)호령(號令)할 날이 분명(分明) 다가올 것이다.
호주머니에 때 절은 사탕(砂糖) 몇 개를 앙증맞은 손에 쥐어 준다.
멈칫 하다가 제법 어른스럽게 고맙다는 인사(人事)도 한다.
역시 서라벌(徐羅伐) 태생(胎生)은 무엇이 달라도 다르단 말이야. www.pjnonsul.com
   울퉁불퉁한 시멘트 포장(包裝)길이 생긴 모양대로 길을 만들었는지, 걷는 것이 천직(天職)인 나그네에겐 더 없이 정겹게 다가온다.
서라벌(徐羅伐)염불(念佛)소리가 가득하게 하였다는 염불사지(念佛寺址)발굴조사(發掘調査)를 끝내고 나신(裸身)을 드러내고 추위에 떨고 있다.
어디서 왔는지 까치 한 마리가 쓰러진 () 옥개석(屋蓋石) 위에 앉아서 머리를 좌우(左右)로 두리번거리고 있다.


남산 불상 중 예술성이 가장 뛰어난 칠불암.[국제신문 제공]

www.pjnonsul.com
   금오산(金鰲山)을 오르면 항상(恒常) 떠오르는 것이 하나가 있다.
골골마다 숨어져 있는 수많은 절터하며, 바위마다 새겨져 있는 불상(佛像)을 보고 있노라면, 말 그대로 불국토(佛國土)심장부(心臟部)에 들어 온 것 같은 기분(氣分)이 옷깃을 숙연(肅然)하게 한다.
그 때 서라벌인(徐羅伐人)들에겐 금오산(金鰲山) 자체(自體)숭모(崇慕)대상(對象)이 되고도 남았을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역시 금오산(金鰲山)() 그 이상의 무엇으로 우리들에게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 한다.
www.pjnonsul.com
   등산로(登山路)를 따라 바로 삼화령(三花嶺)으로 ()했다.
주변(周邊)에 볼거리를 오늘은 그냥 지나치고 싶었을 뿐만 아니라 연화좌대(蓮花左臺)를 빨리 만나고 싶은 마음에 발걸음을 최대한(最大限) 크게 하고 걷는다.
겨울바람이 시원하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잠깐 올라왔다고 느꼈는데 벌써 사방(四方)이 훤하게 펼쳐진다.
삼화령(三花嶺)이다.


삼화령 삼존불(국립경주박물관에 모셔져 있다)[국립경주박물관]

www.pjnonsul.com
   여기를 삼화령(三花嶺)으로 추정(推定)하는 고청(古靑) 윤경렬(尹京烈 : 1916∼1999)선생님의 말씀을 들어보자. www.pjnonsul.com
   “지금 안춤 자리가 있는 곳에서 보면, 산줄기 셋이 뻗어 있으니 꽃잎파리 셋(三花에 비유한 것이고, 그 등성이는 () 또는 수()삼화령(三花嶺)인데, 가장 중요(重要)한 것은『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記錄)미륵(彌勒)부처를 파낸 곳이 남산(南山) 남쪽 골짜기란 거다.
남산(南山)의 남쪽 골짜기가 바로 이 마루의 남쪽 골짜기가 아니고 어디란 말인가?” www.pjnonsul.com
   그러나 동국대(東國大) 총장(總長)을 지낸 황수영(黃壽永 : 1918~) 선생은 남산(南山)의 북쪽, 남산신성(南山新城)의 북쪽을 삼화령(三花嶺)이라고 주장(主張)한다.
무엇보다도 지금 경주박물관(慶州博物館)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三尊佛)이 이곳에서 발견(發見)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의 주장(主張)을 들어보자. www.pjnonsul.com
   “이 부처님을 새긴 솜씨가 오래된 양식(樣式), 즉 ‘세나라 시절(三國時代’ 신라(新羅) 솜씨고, 생의(生義)스님이 미륵(彌勒)부처를 파내 모신 때(선덕여왕 13년, 644년)와 맞아떨어지므로, 이 불상(佛像)생의사(生義寺)미륵불(彌勒佛)로 보고, 이곳이 삼화령(三花嶺)이라는 것이다.” www.pjnonsul.com
   앞으로 이 부분(部分)은 더욱 많은 연구(硏究)필요(必要)할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어쨌든 탐방자(探訪者)고청(古靑)선생님의 주장(主張)에 한 발짝 더 다가서서 오늘 삼화령(三花嶺)을 찾았다.
연화좌대(蓮花座臺)는 오늘도 침묵(沈黙)으로 일관(一貫)하고 있다.
오랜 과거(過去)를 주저리주저리 풀 것이란 기대(期待)가 한 순간(瞬間) 멀리서 메아리친다.


충담사를 다시 되살린 고청 윤경렬 선생님의 10주기 기념비 제막식

www.pjnonsul.com
   때는 신라(新羅) 35대 경덕왕(景德王 : 742~764) 시절(時節), 왕권(王權)안정(安定)과 함께 문화(文化)정점(頂點)도달(到達)해 있었다.
그러나 달도 차면 기우는 법, 자꾸만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다.
하늘에 해가 둘이나 나타나 화랑승(花郞僧) 월명사(月明師)의 도움으로 겨우 변괴(變怪)를 막았고, 표훈대사(表訓大師)의 도움으로 어렵게 아들을 얻긴 했지만, 경덕왕(景德王)의 마음은 늘 불안(不安)으로 지쳐있었던 것이다. www.pjnonsul.com
   경덕왕(景德王) 24년 삼월(三月) 삼짇날 ()귀정문(歸正門) 문루(門樓) 위에 나와 앉아 측근(側近)들에게 말하기를, “누가 길에 나가 훌륭하게 차린 중 한 ()을 데려올 수 없을까?”하였다.
이때 마침 풍채(風采)가 깨끗하게 생긴 대덕고승(大德高僧) 한 명이 걸어오고 있었다.
그를 데려와 ()에게 알현(謁見)시키니 경덕왕(景德王)은 “내가 말한 훌륭하게 차린 중이란 저런 중이 아니다”하고는 물리쳤다.


신라 35대 경덕왕대에 연회를 베풀었던 장소인 안압지

www.pjnonsul.com
   또 다시 중 한 명이 누비옷에 벚나무로 만든 ()을 지고 남쪽으로부터 오고 있었다.
()이 그를 보고 기뻐하며 맞이하였다.
() 속에는 차 달이는 도구(道具)가 들어 있을 뿐이었다.
()이 누구냐고 물으니 “충담(忠談)이라 합니다” 하였다.
()은 어디서 오는 길이냐고 재차(再次) 물으니, 충담(忠談)은 “소승은 3월 삼짇날-중삼(重三)-과 9월9일-중구(重九)-이면 남산(南山) 삼화령(三花嶺)에 있는 미륵세존(彌勒世尊)님께 차를 달여 올립니다.
지금도 차를 올리고 오는 길입니다”하였다.
충담(忠談)에게 차를 한 잔 얻어 마신 ()은 다시 물었다.
“내가 일찍이 듣기는 대사(大師)기파랑(耆婆郞)찬미(讚美)하는 사뇌가(詞腦歌)-향가(鄕歌)-가 그 뜻이 매우 고상(高尙)하다고 하는데 과연(果然) 그러한가?”하니 충담(忠談)은 “그렇소이다”하였다.
이에 경덕왕(景德王)은 “그러면 나를 위하여 백성(百姓)들이 편히 살도록 다스리는 노래를 지으라”하니 충담(忠談)당장(當場)에 임금의 명령(命令)을 받들어 노래를 지어 바쳤다.
이 노래가 <안민가(安民歌)>이다.
노래를 들은 ()칭찬(稱讚)을 하며 충담(忠談)왕사(王師)()하였으나, 굳이 사양(辭讓)하고 받지 않았다.
안민가(安民歌)현대어(現代語)로 불러보면, www.pjnonsul.com
  
임금은 아비요   君隱父也
신하는 자애로운 어미요   臣隱愛賜尸母史也
백성은 어린 아이라 한다면   民焉狂尸根阿孩古爲賜尸知
백성이 사랑받음을 알 것입니다   民是愛尸知古如
구물거리며 살아가는 백성들   窟理叱六肹生以支所音物生
이들을 먹여 다스리어   此肹喰惡攴治良羅
이 땅을 버리고서 어디로 갈 것인가 한다면   此地肹捨遣只於冬是去於丁 爲尸知
나라 안이 다스려짐을 알 것입니다   國惡攴持以支知右如
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한다면   後句 君如臣多支民隱如爲內尸等焉
나라 안이 태평할 것입니다.
  國惡大平恨音叱如


원효와 요석공주의 사랑으로 유명한 월정교 교각

www.pjnonsul.com
   오늘날 불러보아도 참으로 맞는 말이다.
대통령(大統領)대통령(大統領)답고, 국민(國民)국민(國民)다우면 무엇이 걱정일까. 뉴스만 틀면 대통령(大統領)의 말이 화제(話題)꺼리가 되고, 그늘진 이웃들의 추운 겨울나기가 예사가 아니라고 연일(連日) 떠들어 댄다.
지금 이럴 때 충담(忠談)스님께서 돌아와 안민가(安民歌)라도 불러주면 얼마나 행복(幸福)할까? 그러나 희망(希望)은 있다.
왜냐하면 그 해답(解答)서라벌(徐羅伐) 진산(眞山) 금오산(金鰲山) 정기(精氣)에 있기 때문이다.
기다리면서 다가서기에 매진(邁進)해야 하는 이유(理由)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文學  2.情緖  3.包裝  4.人生  5.苦惱  6.過度  7.固執  8.冬至  9.表出  10.頂上  11.附近  12.飛翔  13.花郞  14.同參  15.周圍  16.徘徊  17.姿態  18.記憶  19.鄕歌  20.詩想  21.鬼神  22.感動  23.世界  24.號令  25.分明  26.人事  27.天職  28.左右  29.恒常  30.佛像  31.氣分  32.肅然  33.自體  34.對象  35.周邊  36.推定  37.重要  38.記錄  39.彌勒  40.總長  41.主張  42.發見  43.新羅  44.部分  45.硏究  46.必要  47.判斷  48.一貫  49.過去  50.期待  51.王權  52.安定  53.文化  54.頂點  55.到達  56.變怪  57.門樓  58.側近  59.風采  60.大師  61.讚美  62.高尙  63.果然  64.百姓  65.當場  66.命令  67.稱讚  68.王師  69.辭讓  70.話題  71.幸福  72.希望  73.解答  74.精氣  75.邁進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